반응형
반응형
교환학생에 대한 기본 사항은 이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학마다 어디로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지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시 이전에도 말했지만 대체로 대학교 수준 따라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 대학교가 정해집니다. 다만 이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의외의 대학교에서 독일 명문대와 교환학생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는 대학 전체 단위에서 학부(Undergraduate) 정규 교환학생(최소 1학기) 기준이므로 대학원이나 어학연수, 특정 단과대에서만 교환 보내는 경우는 아래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핀란드는 인구가 한국 1/10 수준으로 그래서 대학교 수도 40여 개 정도로 적습니다. 그래서 QS 랭킹 500위 안에 드는 상위 7개 대학 정도면 주요 대..
교환학생에 대한 기본 사항은 이 글을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대학마다 어디로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지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시 이전에도 말했지만 대체로 대학교 수준 따라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 대학교가 정해집니다. 다만 이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의외의 대학교에서 독일 명문대와 교환학생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는 대학 전체 단위에서 학부(Undergraduate) 정규 교환학생(최소 1학기) 기준이므로 대학원이나 어학연수, 특정 단과대에서만 교환 보내는 경우는 아래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우선 홍콩삼대를 기준으로 잡았고 나머지 8대 중 5개 대학도 나중에 시간이 나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홍콩대학(The University of H..
교환학생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의 경우 이 글, 일본 교환학생에 대한 더 자세한 사항은 이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저번 글에서 썼다시피 다니고 있는 대학마다 어디로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지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시 이전에도 말했지만 대체로 대학교 수준 따라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 대학교가 정해집니다. 다만 이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의외의 대학교에서 일본 명문대와 교환학생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이는 대학 전체 단위에서 학부(Undergraduate) 정규 교환학생(최소 1학기) 기준이므로 대학원이나 어학연수, 특정 단과대에서만 교환 보내는 경우는 아래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명문대는 위 3개 대학으로 잡았는데 이 외에는 모두 2009년, 20..
저야 일본으로 교환 가서 잘 못 느꼈는데 제 주변 교환학생을 가거나 생각하고 있는 친구들이 가장 걱정하던 건 보통 생활비였습니다. 특히 미국 교환을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이 특히 그랬습니다. '학비도 아니고 먹고사는거야 뭐 큰 차이 있겠어?'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꽤 컸습니다. UCLA 1년 Food & Housing이 18369달러입니다. 커뮤터, 그러니까 기숙사 안 사는 애들이 8000달러 지출하는 걸로 나오니까 UCLA 1년(정확히는 9개월) 기숙사비가 10000달러, 그러니까 1200만 원 정도라는 거죠. 신촌에서도 1000/40이라던가 500/55 같은 식으로 대충 월 50만원 정도 원룸이 많다는 걸 감안하면 기숙사비만 2배가 들죠. 거기에 항공권, 한국보다 확연히 높은 식비+교통비 등도 감당..
인도네시아 대학 서열오늘은 인도네시아의 대학서열을 한 번 써보고자 합니다. 현지 입시 서열이 기준이므로 QS랭킹 같은 국제랭킹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인도네시아 대학들도 저번에 소개드렸던 대만 대학들과 비슷하게 상위 대학은 전부 국립대이고 어느 정도 명문대 라인이 있기 때문에 소개하기 편할 것 같습니다. 다만 한국 어느 어느 급이다라고는 말하기 애매한 게 최상위 3개 대학을 제외하면 상당 수가 지방국립대이며 한국 수준으로 입시라인이 공고하지 않고 학과별로 차이가 나기 때문입니다. 0. 인도네시아의 고등교육기관 인도네시아에는 크게 5종류의 고등교육기관이 있습니다. 종합대학교(Universitas), 중점대학교(Institut), 특성화대학교(Sekolah Tinggi), 전문대학(Politeknik..
가끔 '소득분위 9분위 이상이면 장학금을 못 받는다'라는 글이 인터넷에 올라오곤 합니다. 아예 틀린 말은 아닙니다. 국가장학금은 그게 기준이고 소득분위도 고려하는 장학금들이 꽤나 많으니까요. 하지만 아예 그렇다고 못 받는 건 아닙니다. 저만 해도 대학교 다니면서 3~4학년 간 전액 장학금, 300만원 생활 명목 장학금을 받았습니다. 당시 10분위였고요. 뭐 방법이야 당연히, 소득분위를 안 보는 혹은 엄청 널널하게 보는 장학금을 찾아서 지원하는 건 데 생각보다 국가장학금만 생각하고 포기하거나 너무 복잡하거나 찾아볼 생각을 안 하는 경우가 많더라고요. 그래서 구체적이지만 알기 쉽게 그 방법을 작성해 봤습니다. 1. 나의 조건에 맞는 장학금을 찾아야 한다. 찾아볼 곳은? 한국장학재단, 드림스폰, 대학교 공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