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나름 괜찮은 로스쿨에 들어간 만큼 친구, 친척, 지인(주로 부모님 경유)으로부터 입시상담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론 그 상담 중 가장 큰 건 로스쿨 입학 문제이지만 그 외에도 학비 관련해서 많이들 물어보십니다. 로스쿨 학비가 상당히 비싸기 때문이겠죠. 2023년 기준 학기당 등록금이 사립 중에서는 연세대가 973만 원으로 가장 비싸며, 가장 싼 건국대가 761만 원입니다. 국공립의 경우 가장 비싼 서울대가 665만 원, 가장 싼 충남대가 482만 원입니다. 최대 3년 간 입학비 포함하면 6040만 원(연세대) ~ 2912만 원(충남대)가 드는 셈이니 부담이 되는 건 사실입니다. 다만 저는 '변호사시험 합격할 자신'만 있다면 학비 부분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변호사 요새 얼마 벌어요? 막 월 300도 못번다는 말도 있는데''형은 연대 출신에 인설대형 로스쿨 나왔으니까 그렇다고 쳐도 지방대-지방로는 어때요? ''변호사는 리스크가 크다던데. 차라리 대기업 가는게 낫지' 몇몇 지인들이나 로스쿨 준비를 고려하는 후배들한테 로스쿨 생활 하면서 꽤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특히 요새 사촌 동생들이 많이들 취업하는데 은근히 물어보더라고요. 사실 친척이나 친구라면 한 마디로 정리 가능 합니다. 'LEET 시험 가장 많이보고 로스쿨 진학 가장 많이 하는 애들이 SKY 애들인데 걔네가 바보냐?' 실제로 작년 기준 원광대 로스쿨 입학자 64명 중 39명이 SKY+경찰대 출신이었습니다(서울대 6명, 연세대 14명, 고려대 10명, 경찰대 9명)걔네들은 바보라서 로스쿨 3년 간 1년..
간만의 주말에 미뤄뒀던 로스쿨 입시 후기를 써보려고 합니다. 글쓴이는 연세대를 졸업했으며 올해 경희대 로스쿨과 나군 인설대형 로스쿨(연고성한이 중 하나)에 합격했고 지금은 나군 인설대형에 다니고 있는 중입니다. 앞으로 글에 다른 개인정보가 들어갈 예정이므로 현재 어느 로스쿨 재학 중인지까지 밝힌다면 신상이 완전히 드러나 버리기 때문에 현재 재학하고 있는 로스쿨은 밝히기 어렵습니다. 올해 경희대 최초합격 때 뽑은 합격증으로 인증을 갈음함을 양해 바랍니다. 본격적으로 후기를 쓰기 이전에 먼저 주의를 드리고 다음으로 넘어가겠습니다. 이건 어디까지나 2년 정도 로스쿨 준비해 본 제 경험을 바탕으로 한 글이며 당연히 절대적 진리는 아닙니다. 제 생각이 틀릴 수도 있고 설령 제가 겪은 케이스에서는 맞더라도 다른 로..
로스쿨에 대한 이런저런 기본적인 내용은 오른쪽 링크를 보면 잘 나와있습니다. #1, #2 간단히 말하면 옛날처럼 사법고시를 통해서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는 대신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해서 3년간 공부 한 다음 졸업할 때 변호사시험을 볼 자격을 주고 변호사시험 합격시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게 바뀌었습니다. 즉, 사법시험을 대체하는 게 바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입니다. 그렇다면 이 로스쿨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건 뭐가 있을까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드시 필요한 것들 1. 4년제 대학 학위 전문'대학원'에 들어가는 거니까 당연히 4년제 학위가 필요합니다. 외국대학교 졸업자도 포함되며 법령에 의하여 동등한 학력, 즉 학점은행제, 독학사, 사이버대학 등을 통해 학사학위를 취득한 경우도 인정됩니다. 그러나 ..
대학별 로스쿨 진학 순위 어느 로스쿨에 들어갔든, 어느 대학에서 1년에 몇 명이나 로스쿨 학생을 배출하는지, 또 각 대학의 로스쿨 진학률은 어떤지 하번 살펴보겠습니다. 변호사 시험 합격등 변수가 있긴 하지만 어느 대학에서 1년에 몇 명의 법조인을 배출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대학별 로스쿨 진학자는 법률저널의 기사를 참고했습니다.(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128)입학자 수는 위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입학자 수만 가지고는 대학에서 정확히 몇%가 가는지 알 수 없습니다. 단순히 입학자가 많기 때문에 로스쿨 진학자 수가 많을수도 있죠. 1년에 3800명 가까이 입학하는 고려대학교와 300여명만 입학하는 포항공대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습..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