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위는 한국에서 열린 해외취업박람회의 일본 기업 입사 담당자가 기자에게 한 말입니다. 사실 조금만 진지하게 일본 취업을 준비하고 찾아본 사람이라면 당연히 저런 생각을 가진 사람은 거를 수 밖에 없다는 걸 아는데 대체적으로 일본 취업에 대한 생각은 있지만 이에 대해서 일본 웹에서 검색해볼 역량은 안되는 분들이 많이 오는 행사가 국내에서 열리는 해외/일본취업박람회라서 저런 분들이 많은 것 같습니다. 저도 일본으로 교환학생을 다녀와서 거기서 인턴도 해봤고(일본 취업 준비해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당일 혹은 길어봐야 3일 정도인 체험형 인턴이긴 하지만) 일본으로 유학가서 거기서 살고 있거나 취직했다가 리턴한 친구들도 꽤 있기 때문에 글을 써봅니다. 1. 애초에 왜 일본 기업이 한국인을 뽑으려고 할까? 말투는 굉장히..
나름 괜찮은 로스쿨에 들어간 만큼 친구, 친척, 지인(주로 부모님 경유)으로부터 입시상담을 받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물론 그 상담 중 가장 큰 건 로스쿨 입학 문제이지만 그 외에도 학비 관련해서 많이들 물어보십니다. 로스쿨 학비가 상당히 비싸기 때문이겠죠. 2023년 기준 학기당 등록금이 사립 중에서는 연세대가 973만 원으로 가장 비싸며, 가장 싼 건국대가 761만 원입니다. 국공립의 경우 가장 비싼 서울대가 665만 원, 가장 싼 충남대가 482만 원입니다. 최대 3년 간 입학비 포함하면 6040만 원(연세대) ~ 2912만 원(충남대)가 드는 셈이니 부담이 되는 건 사실입니다. 다만 저는 '변호사시험 합격할 자신'만 있다면 학비 부분은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
'변호사 요새 얼마 벌어요? 막 월 300도 못번다는 말도 있는데''형은 연대 출신에 인설대형 로스쿨 나왔으니까 그렇다고 쳐도 지방대-지방로는 어때요? ''변호사는 리스크가 크다던데. 차라리 대기업 가는게 낫지' 몇몇 지인들이나 로스쿨 준비를 고려하는 후배들한테 로스쿨 생활 하면서 꽤 많이 듣는 질문입니다.특히 요새 사촌 동생들이 많이들 취업하는데 은근히 물어보더라고요. 사실 친척이나 친구라면 한 마디로 정리 가능 합니다. 'LEET 시험 가장 많이보고 로스쿨 진학 가장 많이 하는 애들이 SKY 애들인데 걔네가 바보냐?' 실제로 작년 기준 원광대 로스쿨 입학자 64명 중 39명이 SKY+경찰대 출신이었습니다(서울대 6명, 연세대 14명, 고려대 10명, 경찰대 9명)걔네들은 바보라서 로스쿨 3년 간 1년..
대만 대학 서열 사실 대만 대학 순위의 경우 한국에서는 일본 대학 서열 이상으로 알려져 있지 않고 현지평가도 최상위권 제외하고는 애매한데 그래도 대충 현지 평가 등을 종합해서 매겨 봅니다. 대만 대학의 경우 국립대 위주라는 점은 일본과 비슷하지만 서열이 일원화되어있다는 점은 한국과 비슷하기 때문에 일본과는 달리 대충 한국 OO대와 비슷하다라고 말하기 편한 편입니다. 한국과는 달리 국립이면 앞에 '국립'을 붙이는 편입니다. 지역명인 경우 원어 그대로 표기하고 아니면 한국식 한자어로 표기하겠습니다. 1. 대청교성정(台淸交成政) 국립대만대학, 국립청화대학, 국립양명교통대학, 국립성공대학, 국립정치대학 위 5교는 대만 최고대학들이며 한국의 SKY서성한과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대만대=SKY, 청교성정=서성한..
어차피 휴학도 한 김에 교환학생 준비글을 한 번 써보고자 합니다. 저는 어떻게 교환학생을 가게 되었고 어떻게 준비했는지 간략하게 써보려고 합니다. 구체적인 시기는 제 재학 중인 대학, 교환 간 대학이 밝혀진 상황에서 시기까지 말씀드리면 제 신상이 특정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에 양해부탁드립니다. 1. 교환 가게 된 계기 사실 애초에 일본에 가보고 싶다는 생각은 하고 있었습니다. 대학 입학하기 전부터 일본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기 때문입니다. 이유는 중학생 때로 거슬러 올라가는데, 중학생 때 저는 학교 도서관 도서부 소속으로 방과 후 활동은 따로 안 하고 점심시간에 학교 도서관에 있으면서 책상에서 책 보다가 애들 빌려가는 거나 체크하고, 책 정리하고 뭐 그런 식으로 동아리 활동을 했었습니다. 저희 학교 도서관..
교환학생에 대한 기본 사항은 이 글을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 대학마다 어디로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지에 차이가 있습니다. 그리고 역시 이전에도 말했지만 대체로 대학교 수준 따라 교환학생을 갈 수 있는 대학교가 정해집니다. 다만 이게 절대적인 것은 아니라서 의외의 대학교에서 독일 명문대와 교환학생협정을 맺고 있는 경우가 존재하므로 이에 대해 간략하게 적어보고자 합니다. 이는 대학 전체 단위에서 학부(Undergraduate) 정규 교환학생(최소 1학기) 기준이므로 대학원이나 어학연수, 특정 단과대에서만 교환 보내는 경우는 아래 포함시키지 않았습니다. 캐나다도 대학 자체가 명문대라기보다는 학과에 따라서 우선순위가 나뉘는 경우가 많지만 독일과는 달리 전체적인 대학서열은 어느정도 잡혀있는 느낌입니다. 명문대 기..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