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일본에서 대학을 다니는 아는 동생에게 '일본고도인재/전문직비자(日本高度人材・高度専門職ビザ)'에 대해 듣고 신기하게 생각했던 기억이 있다. '비자'라고 하지만 사실상 영주권과 마찬가지인데 재류기간 5년인 1호를 취득한 뒤 3년 체류+일정 조건을 충족하면 2호로 변경할 수 있으며 이 때부터 재류기간 갱신 없는 무기한 체류를 보장하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부모 동반 가능, 영주권 재류 요건 완화 등의 특혜가 있다. 물론 취업 할 수 있는 업종이 제한되어있고 배우자/자녀의 업종 제한, 자녀 영주권 취득 제한이 있기 때문에 영주권을 취득하는게 더 바람직 하긴 하지만 심사, 정주기간(일본인과 결혼하지 않았을 시 10년!) 등 제한이 많기 때문에 일본인과 결혼 같은 넘기 힘든 벽을 넘지 않는 이상 취득이 사실상 힘들었..
로스쿨에 대한 이런저런 기본적인 내용은 오른쪽 링크를 보면 잘 나와있습니다. #1, #2 간단히 말하면 옛날처럼 사법고시를 통해서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는 대신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해서 3년간 공부 한 다음 졸업할 때 변호사시험을 볼 자격을 주고 변호사시험 합격시 변호사 자격을 부여하게 바뀌었습니다. 즉, 사법시험을 대체하는 게 바로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입니다. 그렇다면 이 로스쿨에 들어가기 위해 필요한 건 뭐가 있을까 한 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드시 필요한 것들 1. 4년제 대학 학위 전문'대학원'에 들어가는 거니까 당연히 4년제 학위가 필요합니다. 외국대학교 졸업자도 포함되며 법령에 의하여 동등한 학력, 즉 학점은행제, 독학사, 사이버대학 등을 통해 학사학위를 취득한 경우도 인정됩니다. 그러나 ..
일본 대학 순위 - 대학군(大学群) 일본 대학순위 제2탄 대학군 편입니다. 지난 번에 일본 대학들의 순위에 대해서 간략하게 알아보았습니다. 하지만 일본 현지에서 실제로 저런 랭크대로 생각하지는 않습니다. '메이지대는 B랭크, 간사이대는 C+랭크' 이렇게 생각하는 사람은 많지 않아요. 진학지도를 하거나 언론에서 학벌을 다룰 때도 몇몇 비슷한 수준의 대학을 묶어서 생각합니다. 한국 학원들에서 서연고/서성한/중경외시 말하는 것처럼요. 그래서 오늘은 그 대학군을 기준으로 학교 순위를 매겨 보겠습니다. 지난 번에 국공립 대학과 사립 대학을 분리해서 많이 생각한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래서 대학군도 보통 국공립은 국공립, 사립은 사립끼리 많이 묶이는 편입니다. 국공립 대학 동경일공(東京一..
일본 대학 순위 요즘 한국 취업이 점점 어려워지면서 일본으로 유학을 가려는 학생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일본이 독일이나 프랑스 같은 대학 평준화 국가도 아니고 명문/비명문이 확실히 갈려있는 곳이라 어느 대학을 가는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그래서 오늘은 일본 대학의 순위를 알아보겠습니다. 순위를 보기 전에 아래는 다 일본 소재의 국립, 공립, 사립대학 전체에 관한 순위입니다만 일본 입시기관이나 학원에서는 일반적으로 국공립/사립으로 나누어서 그 입학난이도를 평가합니다. 왜냐하면 서로 학생을 뽑는 방식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국공립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1차적으로 센터시험 성적으로 N배수 선발을 한 뒤 2차로 본고사+면접 정도를 보아 최종합격자를 결정하는 방식으로 학생을 선발합니다. 한국의 수시와 같은 추천전형(학교..
대학별 로스쿨 진학 순위 어느 로스쿨에 들어갔든, 어느 대학에서 1년에 몇 명이나 로스쿨 학생을 배출하는지, 또 각 대학의 로스쿨 진학률은 어떤지 하번 살펴보겠습니다. 변호사 시험 합격등 변수가 있긴 하지만 어느 대학에서 1년에 몇 명의 법조인을 배출하는지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대학별 로스쿨 진학자는 법률저널의 기사를 참고했습니다.(http://www.lec.co.kr/news/articleView.html?idxno=42128)입학자 수는 위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지만 입학자 수만 가지고는 대학에서 정확히 몇%가 가는지 알 수 없습니다. 단순히 입학자가 많기 때문에 로스쿨 진학자 수가 많을수도 있죠. 1년에 3800명 가까이 입학하는 고려대학교와 300여명만 입학하는 포항공대를 단순 비교하기는 어렵습..